|
|
|
행복하고 편안한 산전 생활을 열어 드립니다.
산과(産科)는 인간의 임신에 따른 생리학부분과 임신의 관리, 정상분만과 진통, 이상 분만 관리 및 고위험 임신과 산과적 합병증, 임신과 동반된 모성 질환, 산과 수술, 산욕기 관리 등을 전문으로 하고 있는 분야입니다.
포항여성병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전문성과 특성으로, 본원을 찾아오신 산모분들에게 양질의 진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- 산부인과 전문의 10명이 그 동안 축적된 이론과 경험을 바탕으로 소아청소년과,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와 힘을 합쳐 모든 산모에게 최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- 태아정밀초음파 전문의가 정확한 태아진단을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.
- 가족분만실 운용으로 분만 문화의 수준을 한 단계 더 높였습니다.
- 일반분만실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했으며 벽면설치를 이용하여 개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최대한 제공하고 있습니다.
- 무선 원격 모니터가 간호사실에 설치되어 태아의 건강상황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판단하고 있으므로 단 한순간도 태아 상태를 놓치지 않고 있습니다.
- 쾌적하고 넓은 수유실이 준비되어 있습니다.
- 신생아실의 산소공급 체계 등이 종합병원 중환자실 수준으로 구비되어 치료에 만반을 기하고 있습니다.
- 4차원 입체초음파 진단을 이용하여 산전 진료의 정확도를 더 높이고 있습니다.
- 임산부 기체조 교실 외 이유식 만들기 교실, 베이비 마사지 교실 등 다양한 산모문화교실이 운영되고 있습니다.
- 개원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제왕절개 분만율 또한 전국 제왕절개 분만율에 비해 낮습니다. 또한 <자연분만 연구회>소속 병원으로서, 정상 분만을 하기 위하여 언제나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.
- 이는 의학적으로 불가피한 경우에만 국한하여 수술을 실시하는 본원 의료진의 철학과 능력 때문이라는 자부심을 갖고 있으며, 앞으로도 변함없는 노력을 기울일 것을 약속드립니다.
임산부 산전 기본검사 및 기타 항목 안내
시 기 |
검사항목 |
내 용 |
임신초기 (첫 진료) |
혈액검사 |
- 빈혈 및 일반혈액검사,혈액형,간기능,신장기능,매독혈청,풍진항체,A,B,C형 간염항체,갑상선기능,비예기항체,AIDS 검사 등
|
소변검사 |
요로감염, 당뇨, 단백뇨 진단 |
질 초음파검사 |
임신주수 및 태아진단 |
- 태아 동영상 (세이베베) 안내
- 엽산복용 권유
- 필요시, Vit.D 복용 권유
|
임신 10~13주 |
1차 통합분석검사 |
- 초음파 검사 (후경부 투명대 확인)(필요시, 4D 입체초음파 실시)
- 혈액검사 (PAPP-A)
|
산전 정신지체 선별검사 (Fragile X syndrome test) : 필요시, 9~18주 사이에 검사함을 권장합니다. |
임신 14~22주 |
2차 통합분석검사 |
- 초음파검사
- 혈액검사 (QUAD test)
- 통합검사 2차까지 실시하여, 다운증후군, 에드워드 증후군, 개방성 신경관결손 (NTD) 의 위험도를 측정하며, 고위험군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양수검사를 실시하여 염색체 이상여부를 확인함.
|
철분제제 복용 권유 |
임신 20~24주 |
정밀 초음파검사 |
고가의 정밀초음파 전용장비를 이용하여, 태아심장, 뇌 기형을 비롯한 내부장기의 이상여부와 전신기형에 대한 자세한 진단실시. |
임신 24~28주 |
임신성 당뇨검사 |
50g OGTT(50g 당부하 검사)시 이상소견이 있으면 100g OGTT를 실시함. |
임신 28~32주 |
입체 초음파검사 |
- 입체초음파를 실시하여 태아의 얼굴, 손발 등의 외형적 모습을 확인합니다.
- Rh 음성 산모의 경우, 항체형성 방지를 위한 접종안내 (WinRho SDF, patobulin, Rhogam 등)
- 백일해 예방접종 (Boostrix) 안내
|
임신 32~35주 |
정기진료 |
초음파검사 |
임신 36주 이후 |
- 매주 초음파검사
- 막달검사
- 태아안녕검사
(태동검사, NST)
|
- 임신말기 검사로서, 혈액, 소변 등의 기본검사 외에도, 심전도검사 및 흉부 X-선 촬영실시(심장 및 폐 이상여부 진단 및 응급수술시 마취 안정성 확보목적)
- 임신 38주경이 되면, 매주 내원시, 내진을 해서 골반의 크기와 자궁경부의 개대 및 숙화(연화), 태아하강 정도를 진단합니다.
|